! 주의 : TIL 게시글입니다. 다듬지 않고 올리거나 기록을 통째로 복붙했을 수 있는 뒷고기 포스팅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리덕수 그잡채에 대해 알아봤는디라 기억할런가 몰것네잉
이전에 살펴본 Redux는
액션 타입이 그냥 문자열이라 오타날 확률도 높고, 뭐가 있는지도 헷갈릴 수 있었지라
데이터랑 상태가 많을수록 store라는 중앙집권식 객체가 점점 커질께
그리고 state를 직접 건드리면 안된다는 규칙을 개발자가 알아서 지켜야 혀
이런 문제를 뭐.. 상수 선언하던지, 리듀서를 나눠가지고 해결할 수도 있긴 한디
이거를 다 간단하게 해결해주는 Redux Toolkit이 나왔당께
리덕스 툴킷은 효율적인 Redux 개발을 위한 도구로써, Redux 팀에서 강력추천하는 활용법이제.
Redux의 대표적인 세 가지 문제를 해결하려고 만들어졌는디
- 저장소 설정이 너무 복잡하다잉
- 쓰다보면 다른 패키지에 의존을 많이 하게 된다잉
- 코드양이 너무 많아진다잉
그래서 나온 것이 리덕스 툴킷이다잉 https://redux-toolkit.js.org/
npm install @reduxjs/toolkit
여기에는 redux가 이미 포함되어 있당께
리듀서 쪼개보기 slice
전에야 하나의 중앙 store만 있구, 그 안에서만 상태를 관리했는디
이제 createSlice
를 사용해서 store의 분파를 만들 수 있당께. 마치 지방자치구를 만드는 것처럼 말여.
const initialState = { counter: 0, show: false };
const counterSlice = createSlice({
name: "counter",
initialState,
reducers: {
increment(state) {
state.counter++;
},
decrement(state) {
state.counter--;
},
increase(state, { amount }) {
state.counter += amount;
},
toggle(state) {
state.show = !state.show;
}
}
});
이렇게
name
: 지방자치구 이름initialState
: 초기 상태값- "lazy initialize"라서, state 값이
undefined
일 때 이게 대신 사용된다잉
- "lazy initialize"라서, state 값이
reducers
: 액션 메서드가 들어간 객체toggle(state)
이런 식으로 작성하면, 이전 상태를 받아서 업데이트하게 할 수 있고,increase(state, payload)
처럼 페이로드를 받아서 쓸 수도 있당께.
전에 리듀서로 case
문 써서 type
으로 구분했는디, 이제는 액션 메서드를 따로 만들어서 쓰면 된다잉.
이러면 오타날 걱정도 없구, 더 명확허게 쓸 수 있당께.
그리고 중요한 점이, state를 메서드 안에서 직접 변화시키는 것인데
이거는 리덕스 툴킷이 immer라는 라이브러리를 써서 가능한 것이여.
직접 수정하는 것처럼 보이게 써도, 내부적으로 알아서 복제하고 반환하는 형태로 처리해줌께.
그러니까 그냥 state.count++
이런 식으로 걍 써도 된다잉.
리듀서 등록하고 store 만들기
이제 createSlice
로 만든 슬라이스는 리듀서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당께
createStore(counterSlice.reducer)
라고 쓰면 간단하게 store를 만들 수 있당께.
중앙집권적이었던 저장소를 슬라이스로 나누게 되었는디,
슬라이스가 여러 개 있을 수 있제.
이전엔 combineReducer
로 여러 리듀서를 병합했는디,
리덕스 툴킷에선 configureStore
함수를 쓰면 간단혀.
const store = configureStore({
reducer: {
counter: counterSlice.reducer,
foo: fooSlice.reducer
}
});
configureStore
에 reducer
라는 속성을 가진 객체를 넘겨주면,
슬라이스들을 구분하는 이름이랑 그 리듀서를 넣어주면 됨께.
그러면 자동으로 모든 슬라이스 리듀서를 합친 중앙 저장소가 만들어진당께.
action을 내보내고 컴포넌트에서 쓰기
slice
의 actions 객체에는 reducers:
에서 정의한 액션 메서드들이 다 들어있당께.
이제 액션 메서드들을 내보내면 되는데, 이건 다 액션 생성자로 보면 된다잉.
이전에는 { type: "increment" }
이런 액션 객체를 직접 만들어서 dispatch
했는디,
이제는 counterSlice.actions.increment
를 호출하면 알아서 { type: "increment" }
를 내보낸당께.
그리고 counterSlice.actions
를 내보내서 컴포넌트에서 갖다 쓰면 됨께.
export const counterActions = counterSlice.actions;
이런 식으로 action 생성자를 내보낼 수 있다잉.
이제 dispatch(counterActions.increment)
이렇게 쓰면 된다잉.
페이로드를 넣고 싶으면 counterActions.increase(10)
이런 식으로 쓰면 됨께.
useSelector로 상태값 가져오기
슬라이스 여러 개를 configureStore
로 합쳤다면,
useSelector
에서 저 reducer 객체의 키 값으로 상태를 찾아야 한당께.
const counter = useSelector(state => state.counter.counter);
const showCounter = useSelector(state => state.counter.show);
const isAuthenticated = useSelector(state => state.auth.authenticated);
이런 식으로 철저하게 구분돼있당께.
이제 store.fooCounter.counter
같은 식으로도 손쉽게 상태를 관리할 수 있제.
비동기 처리나 부수효과를 Redux에서 다루기
리덕스에 몇 가지 제약이 있었는디
- 리듀서 함수는 순수해야 하고, 부수효과가 없고, 동기적으로 동작해야 한다는 것이제.
그래서 HTTP 요청이나 비동기 로직 같은 것들은
- 컴포넌트 안에서
useEffect
로 처리하던가, - Redux Toolkit의 Thunk를 사용해서 처리할 수 있당께.
useEffect로 처리하기
const cart = useSelector(state => state.cart);
useEffect(() => {
fetch(`https://my-firebase-url/cart.json`, {
method: "PUT",
body: JSON.stringify(cart)
});
}, [cart]);
이렇게 useEffect
를 사용해서 상태 변화에 따른 부수효과를 처리할 수 있당께.
근디 첫 마운트 때 비어 있는 cart를 백엔드에 보내는 문제가 있을 수 있제.
이걸 해결하려면 컴포넌트 함수 바깥에 let isInitial = true
를 선언해서 첫 마운트 때는 HTTP 요청을 하지 않게 설정할 수 있다잉.
액션 생성자 Thunk 사용하기
Thunk는 어떤 작업을 지연시키는 함수라 보면 된다잉.
비동기 요청이나 다른 액션을 처리할 수 있당께.
const sendCartData = cartData => {
return async dispatch => {
// 여기에 다른 액션을 dispatch하거나 비동기 요청을 처리함께.
};
};
이런 식으로 액션 생성자 안에 비동기 로직을 넣어 처리할 수 있다잉.
예를 들어, 상태 변화에 따른 HTTP 요청과 알림 액션을 추가하는 로직을 이렇게 작성할 수 있당께.
export const sendCartData = cartData => {
return async dispatch => {
const sendRequest = async () => {
const response = await fetch(`https://my-firebase-url/cart.json`, {
method: "PUT",
body: JSON.stringify(cartData)
});
if (!response.ok) {
throw new Error("Sending cart data failed.");
}
};
try {
await sendRequest();
} catch (error) {}
dispatch(
uiActions.showNotification({
// 알림 payload
})
);
};
};
이제 컴포넌트에서 dispatch(sendCartData(cart));
이렇게 써서 비동기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잉.
마찬가지로, 첫 마운트 때 데이터를 가져오는 Thunk도 만들 수 있제.
export const fetchCartData = () => {
return async dispatch => {
const fetchData = async () => {
const response = await fetch("https://my-firebase-url/cart.json");
if (!response.ok) {
throw new Error();
}
const data = await response.json();
return data;
};
try {
const cartData = await fetchData();
dispatch(cartActions.replaceCart(cartData));
} catch {
/* 에러 처리 */
}
};
};
이제 컴포넌트에서 useEffect(()=>{ dispatch(fetchCartData()) }, []);
이렇게 간단히 한 줄로 처리할 수 있당께.
리덕수씨네 툴킷 워땐겨? 덕분에 더 깔끔하고 편리해졌지라
이만 마치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