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스프링공부중인데요
"이렇게 저렇게 해서 스프링 빈을 주입받습니다~" 라는 말을 정말 자주 봅니다
그럼 저같은 머글들은 당연히도..
스프링 빈이 도당체 뭔데?? 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모르겠으면 응당 알아보고 넘어가야겠죠?
Spring Bean ?
Spring docs에서 말하는 bean이란...
bean은 Spring IoC 컨테이너에 의해 생성(instanciatiate)되고, 조립(assemble)되며, 관리(manage)되는 객체입니다.
음... 저같은 사람은 Spring IoC 컨테이너가 뭔지도 모르니까 또 알아봐야겠는데요?
일단 기존의 Java Programming에서는 먼저 class
를 작성하고, new
로 객체를 인스턴스화하여 사용하는 구조였습니다. 사용자가 객체들을 직접 생성, 관리했던 것인데요
Spring의 가장 큰 특징은 이 개념을 거꾸로 뒤집는다는 것입니다.
객체의 생성과 유지, 관리를 사용자가 직접 하도록 하는 것이 아닌, 특별한 관리 주체에게 맡겨버리는 것인데요..
이를 제어의 역전(IoC, Inversion of Control) 이라고 하며, 이 대신 관리해주는 주체가 Spring IoC 컨테이너입니다.
일단 Spring IoC 컨테이너에 등록되면 Singleton으로 단일 객체가 생성되어 관리되고, 사용자는 필요할 때 주입받아 사용합니다.
그럼 Spring Bean을 등록하는 법과 주입받는 법을 알아봐야겠는데요
Spring Bean 등록
1. @Component
어노테이션(Annotation)
어노테이션은 소스코드에 메타데이터 정보를 추가해주는... 유사 인터페이스인데요
가장 익숙할만한 것으로는 @Override
이런 것이 있겠죠?
스프링에서도 꽤나 많은 어노테이션들이 존재하고 매우 중하게 이용되며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사용합니다.
또한 @Controller, @Rest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등의 어노테이션 또한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내재하므로, 사용 시 스프링 빈으로 등록됩니다.
@Target({ElementType.TYPE})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Documented
@Component
public @interface Controller {
/**
* The value may indicate a suggestion for a logical component name, * to be turned into a Spring bean in case of an autodetected component. * @return the suggested component name, if any (or empty String otherwise)
*/ @AliasFor(annotation = Component.class)
String value() default "";
}
위와 같이, @Controller
어노테이션의 구현부를 보면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직접 Bean Configuration에 등록
또는 아래와 같이, @Configuration
과 @Bean
어노테이션으로 설정파일 밑에 직접 스프링 빈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FooConfig {
@Bean
public FooObject fooObject() {
return new FooObject();
}
}
위에서 @Component
어노테이션은 클래스에 사용했었지만, 이렇게 @Bean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메소드 단위로 빈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Spring Bean 주입
스프링 빈을 등록했으면 어떻게 가져다 쓸지도 알아야겠죠?
스프링 빈 객체를 주입받는다,
또는 의존성을 주입받는다(DI, Dependency Injection)
이런 식으로 말하는데요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필드
필드에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붙여줍니다.
@Autowired
private FooObject fooObject;
2. setter
setter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private FooObject fooObject;
@Autowired
public void setFooObject(FooObject fooObject) {
this.fooObject = fooObject;
}
3. 생성자 (권장)
스프링 빈 객체를 인자로 하는 생성자를 작성합니다. 이 경우 @Autowired
어노테이션은 생략될 수 있습니다.
클래스에 생성자가 하나만 존재하며 인자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된 객체이면 됩니다.
컨테이너가 알아서 생성자에 객체를 넣어주는 셈입니다.
public class SimpleService {
private final FooObject fooObject;
public SimpleService(FooObject fooObject) {
this.fooObject = fooOjbect;
}
}
또한 lombok을 사용하는 경우, 클래스에 @RequiredArgsConstructor
어노테이션만 붙여주면 자동으로 final
필드들을 인자로 받는 생성자를 만들어주니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에서는 생성자 > setter > 필드 순으로 권장하고 있는데요
생성자의 경우 객체 의존성도 꽤나 알아보기 쉽고 final
의 특성상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도 setter의 경우 객체를 나중에 주입받거나 재주입받고 싶은 그런 상황에서 쓰일 수 있겠죠?
본인 상황에 맞게 쓰면 될 것 같습니다
스프링 빈 주입 대상이 여럿이면 어쩌죠?
헉 그런 일이 있을까요? 싶지만
주입 대상을 상속/구현하는 클래스가 또 여럿 있다면
그 중 어떤 객체를 원하는지 모호하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확인해볼까요? 먼저 간단히 FooObject
클래스에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붙여 스프링 빈 객체로 등록하고
테스트 코드에서 간단히 @Autowired
필드 주입으로 해당 객체를 주입받습니다.
@Component
class FooObject {
public void printInfo() {
System.out.println(" >>> I'm foo");
}
}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public class BeanTest {
@Autowired
private FooObject foo;
@Test
public void test() {
System.out.println(" >>> " + foo);
foo.printInfo();
}
}
그런데 FooObject
를 상속한 친구가 있다면 어떨까요?
@Component
class ChildFooObject extends FooObject {
@Override
public void printInfo() {
System.out.println(" >>> I'm foo child");
}
}
이런 친구를 추가하고 아까와 똑같이 실행해보면
헉.. 실패해부렀습니다
foo
에 FooObject
를 넣고싶은건지, ChildFooObject
를 넣고싶은건지 몰라서 에러가 났는데요
그럼 "내가 원하는 객체는 저거야!"를 알려주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1. 필드 이름으로 매칭하기
위에서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붙여서 FooObject
를 스프링 빈 객체로 등록했는데요
이 경우 클래스 명에 대한 camelCase와 동일하게 필드 이름을 작성해주면 해당 객체로 매칭됩니다.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public class BeanTest {
@Autowired
private FooObject fooObject;
@Autowired
private FooObject childFooObject;
@Test
public void test() {
System.out.println(" >>> FooObject : " + fooObject);
fooObject.printInfo();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 >>> ChildFooObject : " + childFooObject);
childFooObject.printInfo();
}
}
또는 @Bean
으로 스프링 빈을 생성한 경우, 메소드 이름으로 스프링 빈 객체를 매칭할 수 있습니다.
2. @Primary
@Primary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최상위로 올립니다. 이 경우 자동으로 해당 객체를 우선 주입합니다.
ChildFooObject
에 어노테이션을 붙여보겠습니다.
@Component
class FooObject {
public void printInfo() {
System.out.println(" >>> I'm foo");
}
}
@Primary
@Component
class ChildFooObject extends FooObject {
@Override
public void printInfo() {
System.out.println(" >>> I'm foo child");
}
}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public class BeanTest {
@Autowired
private FooObject foo;
@Test
public void test() {
System.out.println(" >>> ChildFooObject is @Primary : " + foo);
foo.printInfo();
}
}
3. @Qualifier
@Qualifier
어노테이션으로 어떤 객체를 주입받을지 직접 알릴 수도 있습니다.
주입을 원하는 클래스 명에 대한 camelCase를 어노테이션의 value로 집어넣습니다.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public class BeanTest {
@Autowired
@Qualifier("fooObject")
private FooObject foo;
@Test
public void test() {
System.out.println(" >>> @Qualifier(\"fooObject\") : " + foo);
foo.printInfo();
}
}
4. 모든 스프링 빈 객체 주입받기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public class BeanTest {
@Autowired
private List<FooObject> fooObjects;
@Test
public void test() {
for(FooObject foo : fooObjects) {
System.out.println(" >>> by list : " + foo);
foo.printInfo();
System.out.println("---------");
}
}
}
스프링 빈 주입에 관해 정말 좋은 글이 있는데요.. 저도 참고 많이 했습니다
카카오페이 기술블로그 포스팅인데요
카카오페이 시니어 개발자분께서 빈 주입에 대한 스프링 코드를 직접 뜯고 씹고 맛보고 즐겨주십니다
오픈소스 코드도 까보고 해라.. 이런거는 항상 고수들께서 강조하시지만
막상 하려면 또 잘 모르는 입장에서는 힘들고 부담이고 어디서부터 손대야할지도 모르겠는데
코드 리뷰 흐름을 같이 손잡고 따라가게 해주시니 정말 도움이 많이 됩니다
그 외에도 다른 이야기들과.. 테스트 코드 작성이나.. 결론이나.. 딱딱하지 않으면서도 전부 뼈가 되고 살이 될만한 내용들 뿐이니 한번쯤 보시면 어떤가 싶습니다
이만 마칩니다
Reference
스프링 빈(Spring Bean)이란? 개념 정리
Spring Bean Injection 이야기(feat. 모두가 다 알고 있는 스프링빈, 정말 다 알고 있는가?)
[Spring] Bean 주입하기 : DI
Spring Docs